이 글은 스타트업 투자유치 마스터링의 내용을 정리 한 것 입니다.
IR 자료 작성 시 도움이 될 내용.
1) 스티브잡스 스타일 IR자료 vs 보고서 스타일 IR 자료
VC는 투자가 본업이다 보니 일주일에도 몇 개 업체의 IR을 진행한다. 따라서 IR자리에서 했던 모든 발표자의 말을 기억하지 못할 수있다.
스티브잡스식의 그림을 이용해 시각적인 주목을 끌벼 발표자에게 집중을 하게 만드는 형태로 IR자료를 만드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오히려 구체적 내용을 전달하는 목적의 보고서 형식이 오히려 더 효율적이다. 글이라는 것은 말과 달리, 100년 뒤에도 저자가 의도했던 바를 그대로 받아들이게 함.
2) 자신이 '하고 싶은' 내용보다, 상대가 '듣고 싶은' 내용 위주로 작성
투심위의 주요 투자의사 결정 포인트가 '시장성', '경쟁력' ,'사람', 'EXIT 가능성' 이다.
결국 이 4가지를 쉽게 파악할수 있도록 IR자료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IR자료 작성하기 전 자가체크 리스트
3) IR자료는 단순 내용의 전달 외에 '신뢰를 전달'하는 수단
미사여구, 과장된 장밋빛 전망 등으로 지창된 IR보다는 친구에게 솔직하고 담백하게 이야기하듯이 전달하는 IR이 훨씬 더 효과가 있음.
한 두개씩 정보가 틀리면 자료 전체 및 사람과 회사 전체에 대한 의심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음.
4) 스토리라인에 기반한 구성
'왜 이 사업을 시작했고, 무엇을 해결 또는 달성하고자' 하며 '현재는 어떤 상황이며 향후 비전은 어떻다' 와 같은 스토리라인을 갖추고 있으면, 받아들이는 사람 입장에서 좀 더 공감하기 쉬움.
IR자료가 IR발표 때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VC내부에서 몇 달을 두고 진행되는 투자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StartUp > 투자유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투자유치] 9부 계약서 주요 이슈 해결하기 (0) | 2019.09.17 |
---|---|
[스타트업 투자유치] 8부 기업가치 산정하기 (0) | 2019.09.16 |
[스타트업 투자유치] 6부 투심위 부결 주요 원인 파악하기 (2) (0) | 2019.09.13 |
[스타트업 투자유치] 5부 투심위 부결 주요 원인 파악하기(1) (0) | 2019.09.13 |
[스타트업 투자유치] 4부 VC의 투자 프로세스 이해하기 (0) | 2019.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