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투자유치 및 자금조달 수단 중 VC는 여러 방법 중 하나에 불과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시간도 매우 중요한 성공변수이므로, 적절한 타이밍에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아주 중요함.
정부 지원사업 등도 고려할 수 있는 카드가 분명히 될 수 있다.
2) 매력을 확실히 어필할 수 있는 창업자/기업이 결국 투자유치에 성공
아래의 9개 중, 1개 조차도 어필하지 힘들다면 준비가 더 필요함
1. 고객의 삶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파급력의 아이템
2. 이머징 트렌드로서 성장 잠재력을 가진 아이템
3.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아이템
4. 이머징 트렌드의 길목을 지키고 올라탈 수 있는 역량의 아이템
5. 기술 또는 브랜드의 차별화 및 진입장벽을 구축할 수 있는 기업
6. 디테일한 현실 감각에 기반한 비즈니스 역량의 창업자
7. 일에 대한 선한 의도, 사명감, 열정을 가진 창업자
8. 다음 단계 투자유치가 가능한 아이템 및 기업
9. 성공적인 EXIT 가능성의 기업
3) 국내 VC 환경에서 심사역 개인의 권한은 제한적
창업자 입장에서 매일 보는 심사역이 해당 VC의 의견을 대표하는 게 아니라는 걸 이해해야 함.
심사역이 이런저런 자료를 요청하고, 계약서 항목 조율에서 귀찮게 한다거나 무리한 요구를 하는게 아닌가라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는데,
심사역이 해당 VC에서 가장 우호적인 사람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4) 작은 성과라도 1등을 해본 기업은 전혀 다른 느낌을 전달
큰 시장에서 2000개사 중 100등에 해당하는 기업보다, 작은 시장이라도 1등을 하는 기업을 VC는 선호.
5) 회계 이슈는 누적되면 한 번에 정리하기가 힘든 속성
스타트업일수록 창업자가 회계에 대해서 크게 생각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
창업하는 순간부터 증빙을 남기고, 문제가 되지 않게 관리하는 습관을 분명히 가져야 함.
6) 투자 집행 여부를 떠나 fit이 맞는 투나 심사역과는 관계 유지가 필요
'StartUp > 투자유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이런 창업가에 투자한다] 2. 왜 투자 받는가 (0) | 2019.09.24 |
---|---|
[나는 이런 창업가에 투자한다] 1. 투자를 받기 전 스스로에게 던지는 9가지 질문. (0) | 2019.09.23 |
[스타트업 투자유치] 9부 계약서 주요 이슈 해결하기 (0) | 2019.09.17 |
[스타트업 투자유치] 8부 기업가치 산정하기 (0) | 2019.09.16 |
[스타트업 투자유치] 7부 IR 자료 작성하기 (0) | 2019.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