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Study of Marketing2020. 2. 5. 21:49

 

마케팅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관대한 행위이다.

마케팅은 더 나은 문화를 만들 수 있는 기회이다.

마케팅은 당신이 소중하게 여기는 고객을 섬기기 위한 기회이다.

 

마케팅 != 광고

 

마케터는 다른 사람들이 보는 것을 봐야 하고, 긴장을 창출하고, 비슷한 가치관을 지닌 동류집단과 발맞추며, 확산되는 아이디러를 떠올려야 한다는 뜻이다. 부지런히 노력해서 시장을 따르고 시장과 협력해야 한다

 

효과적인 마케팅은 고객의 세계관과 욕망을 먼저 이해하고 공감을 얻으려 노력한다. 없으면 허전한 존재가 되는 것. 신룋나느 고객들에게 기대한 것보다 많이 주는 것에 집중한다. 고객을 피해자로 만들지 않고, 마케터가 그들에게 자원봉사자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성공적인 마케팅의 5단계

  1.  들려줄 만한 이야기가 있고, 세상에 기여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물건을 고안
  2. 그 것을 소수의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고 사랑 받을 방식으로 설계하고 제작하는 것
  3. 소수의 집단, 최소유효시장(smallest viable market)에 내재된 내러티브와 꿈에 맞는 이야기를 들려줌
  4. 입소문을 퍼뜨리는 것
  5. 오랫동안 꾸준히, 일관되게, 정성껏 일으키고자 하는 변화를 기획하고, 주도하며 신뢰를 구축. 사람들의 변화에 대한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

 

 

 

마케팅은 누가 더 싼 가격으로 더 많은 기능을 더하느냐를 겨루는 경주가 아니다.

마케팅은 우리가 섬기는 사람들을 대신하여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노력이다.

사람마다 달리 이끄는 비합리적 힘을 이해함으로써 그 일을 한다.

 

 

 

종종 조직은 마케팅에 이끌린다. 하지만 그들이 말하는 마케팅은 겉만 번지르르하다.

제안, 반짝이는 표현, 한 푼이라도 더 짜내는 능력에 집중한다.

 

시장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시장의 목소리를 듣고, 거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 더 중요한 것은 거기에 영향을 미치고 방향을 개선하는 것이다.

 

 

 

 

실수1 : 거창하고 이루기 불가능한 변화를 고르는 것. 

-> 당신이 이뤄낼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더 나음. 당신이 일으키고자 하는 변화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이 더 나음. 그 다음 성공을 토대로 더 큰 과제게 도전하여 같은 과정을 반복

 

 

최소 유효 제품 (smallest viable product)에서 사람들이 잘 놓치는 것은 "유효"

쓰레기를 팔면 안 된다. 아직 효과가 없는 물건이라면 시장에 내놓지 말아야 한다.

고객에게 집중하는 것이 스타트업의 유일한 project

 

 

Posted by SangJoKim
Life/Study of Marketing2020. 1. 5. 16:21

 

 

 

단순하고 직관적인 아름다움을 가진 브랜드 로고를 선택하라. -> Pinterest를 활용하라.

 

Blue Bottle Coffee Logo

 

 

 

 

 

 

 

 

BlueBottle Coffee가 다른 Coffee shop들과는 다른 차이점은 다른 커피숍은 "고객회전율 * 단가 = 매출" 이라는 공식을 넘어섰다는 점이다.

48시간 이내의 원두만 고집해서 커피의 고급화를 이룬 점. 그리고 애플을 연상시키는 단순한 브랜드, blue bottle 매장에서는 바리스타의 show로 고객을 만족시킨다는 점을 활용해서 blue bottle의 매장에서 올리는 수익 뿐만 아니라, 원두를 다른 커피숍에게 판매함으로써 다른 수익채널을 만들 수 있었다는 점.

 

여기서 생각해봐야할 것은 창업을 할 당시에 이렇게 매장에서 발생하는 매출만 고려하다가 매출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방법은 고안하다가 원두를 판매하는 B2B영업을 하게 되었는지, 아니면 처음부터 Coffee의 고급 브랜드화를 만들 때부터 B2B 영업을 고려했는지이다.

 

 

 

일본의 카페 시루는 명문대 학생들에게 무료로 커피를 제공하고, 대신 광고 - 대기업의 홍보, 채용설명회 홍보 등- 으로 매출을 올리고 있다.

 

 

 

 

 

스타벅스는 공간에 대한 철학, 블루보틀은 커피의 품질과 라테 아트에 대한 철학을 내세우고 있다.

 

 

 

 

 

 

 

Posted by SangJoKim
Life/Study of Marketing2020. 1. 4. 12:11

차별화된 강점 한가지를 강조해서 그 것만으로 마케팅을 하는 방법.

 

 

다른 제품과 차별화되는 강력한 특징이 있다면

굳이 여러 메세지로 소비자를 혼란 시킬 필요가 없음.

 

 

USP 전략을 사용할 때는 그 차별화된 것이 강력해야 효과가 있음

 

 

중요한 포인트는

기업의 내부에서 차별점을 강조하는 것도 좋으나,

사용하는 사용자, 소비자가 당신의 상품을 한 문장으로 표현해보라고 했을 때, 사용자의 답변 중 절반 정도가 해당 특징을 가리켜야 한다는 점이다.

 

 

기업 내부에서 생각하는 것과 소비자가 생각하는 것은 다를 수 있으며 소비자가 생각하는게 더 정확하다.

 

 

 

Posted by SangJoKim
Life/Study of Marketing2020. 1. 4. 11:51

1. (앱이 존재 한다면) 앱을 쉽게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링크

 

2. 앱이 지니고 있는 차별성에 관한 설득력 있는 상품 관련 메세지

 

3. 사이트를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낸 사례에 관한 데이터

 

4. 회사 창립자들에 대한 스토리

 

5. 상품의 개발에 관한 재미있는 스토리

 

6. 고해상도 스크린샷

 

7. 상품 사용법을 설명하는 비디오 영상

 

8. 재미있게 구성한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FAQ)

 

9. 언론이 우리 사이트에 대해 다룬 내용(주요 대중 매체의 보도 인용)

 

10. 우리와 쉽게 연락할 수 있는 방법

 

 

 

Media Page는 재미 없는 밋밋한 상태로 방치해두면 안된다. 계속 Update를 해야한다. 

News나 미디어에 나간다면 이 기사를 볼 수 있는 링크를 추가해야 한다.

Posted by SangJoKim
Life/Study of Marketing2019. 12. 21. 17:39

Net Promoter Score는 Bain & Company의 프레드 라이크헬드가 개발했다.

 

 

고객은 해당 기업을 친구에게 추천할 것이냐는 질문을 받은 후 0 ~ 10점으로 답함.

 

-> 고객의 답변에 따라 비방하는 사람, 수동적인 사람, 홍보하는 사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1. 0 ~ 6 점 : 비방하는 사람, Detractors

 

Detractors는 브랜드 또는 회사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

돈을 지불할 가능성 낮으며, 불만을 토로하며 부정적인 소문을 낼 가능성이 높음.

 

 

 

2. 7 ~ 8 점 : 수동적인 사람, Passives

 

비방하는 사람과 홍보하는 사람의 중간.

설문조사 응답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함. 

이런 고객인 자신의 브랜드나 기업을 홍보해주거나 충성도가 있지는 않다.

 

 

3. 9 ~ 10 점 : 홍보하는 사람, Promotors

 

이들은 제품을 구매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유지하며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인 브랜드를 확산할 가능성이 높다.

재구매 가능성이 5배나 높고 친구에게 추천할 가능성은 비방하는 사람의 2배.

 

 

 

 

=> 여기에서 절대적인 수치는 서비스, 문화, 나라 마다 다를 것이지만 3가지로 분류 했다는 것에는 동의하며,

마케팅 비용을 들이지 않고 고객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Promotors를 많이 확보하는 것이다. 이들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며, 이들을 많이 만들 수 있게 해야 한다.

 

 

'Life > Study of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is is marketing - Seth Godin  (0) 2020.02.05
BlueBottle에서 배운 점들  (0) 2020.01.05
차별화된 강점 USP - Unique Selling Proposition  (0) 2020.01.04
Contents in website of startup  (0) 2020.01.04
Posted by SangJo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