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Up/투자유치

[나는 이런 창업가에 투자한다] 4. 얼마나 투자 받아야 할까

SangJoKim 2019. 10. 5. 12:59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132450

 

나는 이런 창업가에 투자한다

오늘보다 한 단계 성장한 내일을 꿈꾸는젊은 프로들을 위한 경제경영서 시리즈 ‘폴인이 만든 책’창업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투자 노하우 《나는 이런 창업가에 투자한다》자신의 분야에서 꾸준히 성장해 최고의 전문가로 거듭나고자 하는 젊은 프로들을 위한 경제경영서 시리즈 ‘폴인이 만든 책’ 총 3권, 《나는 이런 창업가에 투자한다》(임정민 지음), 《당신은 더 좋은 회사를 다닐 자격이 있다》(김나이 지음), 《붉은 여왕 전략》(이무원·김필규 지음)이 동시 출간됐

book.naver.com

 

 

스타트업이 투자자로부터 얼마나 투자 받느냐는 다음 2가지 요소를 고려한 후 결정되어야 한다.

 

  1. 다음 투자 라운드까지 필요한 자금은 얼마인가?

  2. 우리 회사의 기업가치는 얼마이고, 투자자의 지분율은 얼마로 할 것인가?

 


다음 단계까지 필요한 비용을 근거로 투자 유치 금액을 구체적으로 정리.

 

 

 

 

재무제표 예측

 

초기 스타트업이 회계사의 도움을 받아 훌륭한 재무제표를 만든다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예측치일 뿐.

그리고 투자자들도 초기에는 재무제표에 많은 신경을 쓰지는 않음.

but, 향후 예상되는 비용의 목록은 확인함.

 

 

  • 예상 매출 : 본격적인 J curve를 그리기 전에는 매출은 0원으로 예상.
  • 월간 비용 : 인건비, 임대료, 마케팅비, 외주개발비 등. 

 

만약 6개월간 약 4억 5천만원의 비용이 들 것이라고 계산이 되었고, 여유자금까지 5억원의 투자금액이 필요하다면, 

명확히 5억원이라고 정하는 것이 좋다.

 

창업자 입장에선, 5 ~ 7억원 즈음이라고 하면 그 차이가 크지 않을 것처럼 느껴지지만, 

투자자 입장에선 그 차이가 크다.

 

 

 

단계적 성장

단계 Seed  Series A Series B
매출 등 핵심지표

MVP를 통한 재구매율,

충성고객 전환율,

LTV 등

확장 시 고객이 충성고객으로 전환되는 비율,

SKU 수, 

고객 서비스 품질,

매출, 영업이익

투자 유치 금액  약 5억 원 20 ~ 50억원 200 억 ~ 500 억

 

 

 

 

 

투자 전, 후 기업가치

 

pre-money valuation(투자 전 기업가치)

post-money valuation(투자 후 기업가치)

 

 

투자 전 기업 가치 + 투자 금액 = 투자 후 기업 가치

 

처음에 창업가가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스타트업을 가정하고 각 단계에서 투자를 진행하면서 창업가의 지분이

어떻게 희석 되었는지 살펴보자

 

  Seed Series A Series B
투자 후 기업가치 20억 원  150억 원 3000억 원
투자 유치 금액 5억 원 50억 원 500억 원
창업가의 지분율 75% 50% 41.65%

 

 

 

창업가의 지분율 유지

 

보통 초기에는 공동 창업자들의 지분의 합을 2/3 이상 확보하는 것이 좋지만, 이마저도 정답은 없음.

분야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함.

 

초기에 너무 높은 valuation을 받는 것이 좋을까? -> 그렇지 않음.

후속 투자유치가 힘들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